Java

220107 혼자공부하는자바 Ch1~Ch5 모르는 부분 리마인드

행인데어 2022. 1. 11. 23:46

02-3)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

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범위가 큰 범위로 저장할 때 발생

(크기는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ex) byte byteValue = 10;

int intValue = byteValue;

문자열을 기본 타입으로 강제 타입 변환

변환 방법

String str = "10";

byte value = Byte.parseByte(str);

(Short.parseShort(), Integer.parseInt(), Double.parseDouble() 등등...)

반대로 기본타입 -> 문자열로 강제 타입 변환하려면

String str = String.valueOf(기본타입값);

02-4) 변수와 시스템 입출력

Scanner클래스 -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통 문자열로 읽기 위해 사용

사용 방법

//생성된 Scanner를 변수에 저장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canner 변수선언, 시스템의 입력장치로부터 읽는 Scanner생성 //읽은 문자열을 String 변수에 저장 String inputData = scanner.nextLine(); //String 변수 선언, 엔터키 이전까지 입력된 문자열 읽음

03-1) 연산자와 연산식

연산자의 연산방향

대부분 왼->오지만, 증감(++, --)랑 대입(=, +=, -=)은 오->왼으로 연산됨

03-2) 연산자의 종류

삼항 연산자

조건식 ? A : B을 말하며 조건식이 true이면 A를 산출하고, false이면 B를 산출

04-1) 조건문: if문, switch문

switch문 -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문이 결정됨

swtich(변수) {
	case 값1:  //변수가 값1일 경우
		실행문A
		break;
	case 값2:  //변수가 값2일 경우
		실행문B
		break;
	default:  //그외 경우
		실행문C
    }

05-1) 참조 타입과 참조 변수

switch문 -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문이 결정됨

기본 타입(byte, char, short, int, long, float, double, boolean)으로 선언된 변수는 실제 값을 변수 안에 저장,

참조 타입(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 타입) 변수는 메모리의 번지를 변수 안에 저장.

** String 문자열 비교는 ==가 아니라 equals() 사용!!!